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25

07. [자바] 오버라이딩(overriding) 오버라이딩(overriding)이란? 부모 클래스에게 상속받은 내용을 변경하는 것을 오버라이딩이라고 한다. 상속받은 메서드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지만, 자식 클래스 자신에게 맞게 변경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럴 때 부모의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한다. 오버라이딩의 조건 오버라이딩은 메서드의 내용만 새로 작성하는 것이므로 메서드의 선언부는 조상의 것과 완전히 일치해야 한다. 자손 클래스에서 오버라이딩 하는 메서드는 조상 클래스의 메서드와 * 이름이 같아야 한다. * 매개변수가 같아야 한다. * 반환타입이 같아야 한다. 1. 접근 제어자는 조상 클래스의 메서드보다 좁은 범위로 변경할 수 없다. 만일 조상 클래스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가 protected라면 자손 클래스 메서드의 접근 제어자는 protected나 .. 2020. 12. 14.
06. [자바] 상속(inheritance) 상속? 상속이란, 기존의 클래스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이다. 상속의 장점은 적은 양의 코드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할 수 있고 코드를 공통적으로 관리할 수 있기 때무에 코드의 추가 및 변경이 매우 용이하다. 자바에서 상속을 구현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하다.😊 작성하려는 클래스의 이름 뒤에 상속받으려는 클래스의 이름을 키워드 'extends'와 함께 써 주기만 하면 된다. class Child extends Parant { // ... } 이 두 클래스는 서로 상속 관계에 있다고 하며, 상속해주는 클래스를 '조상 클래스'라 하고 상속 받는 클래스를 '자손 클래스'라 한다. 혹은 두 클래스를 아래와 같은 용어로 표현하기도 한다. 조상 클래스 : 부모(parent)클래스, 상위(super)클래스.. 2020. 12. 12.
05. [자바] 변수의 초기화 변수의 초기화 변수를 선언하고 처음으로 값을 저장하는 것을 '변수의 초기화'라고 하는데 변수의 초기화는 경우에 따라서 필수적이기도 하고 선택적이기도 하지만 선언과 동시에 적절한 값으로 초기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멤버변수는 초기화는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변수타입의 기본값으로 초기화되지만 지역변수는 사용 전 반드시 초기화해야 한다 class InitTest{ int x; // 인스턴스 변수 int y = x; // 인스턴스 변수 void method1(){ int i; // 지역변수 int j = i // 에러. 지역변수를 초기화하지 않고 사용 } } 멤버변수인 인스턴스 변수는 초기화를 해주지 않아도 알아서 기본값으로 초기화가 이루어져 사용이 가능했지만 메서드 안에 생성된 변수인 지역변수는 초기화해주지 .. 2020. 12. 11.
04. [자바] 생성자(constructor) 생성자(constructor)란? 생성자는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호출되는 '인스턴스 초기화 메서드'이며 보통 변수의 초기화 작업에 주로 사용되며, 인스턴스 생성 시에 실행될 작업을 위해서도 사용된다. 생성자 역시 메서드처럼 클래스 내에 선언되고 구조 또한 메서드와 유사하지만 리턴 값이 없다 1. 생성자의 이름은 클래스의 이름과 같아야 한다. 2. 생성자는 린턴 값이 없다. 생성자도 오버로딩이 가능해서 하나의 클래스에 여러 개의 생성자가 존재할 수 있다. 클래스이름(타입 변수명, 타입 변수명, ...) { // 인스턴스 생성 시 수행될 코드, // 주로 인스턴스 변수의 초기화 코드를 적는다. } class Card { Card() { // 매개변수가 없는 생성자 ··· } Card(String k, int.. 2020.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