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바41

02. [자바] 예외처리 예외처리? 프로그램의 실행중 발생하는 에러는 어쩔 수 없지만, 예외는 프로그래머가 이에 대한 처리를 미리 해주어야 한다.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는 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할 예외에 대비한 코드를 작성하여 예외의 발생으로 인한 프로그램의 갑작스런 비정상 종료를 막고, 정상적인 실행상태를 유지 하는 것이다. 예외처리(exception handling)의 정의 -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에 대비한 코드를 작성하는 것 목적 - 프로그램의 비정상 종료를 막고, 정상적인 실행상태를 유지 하는것 발생한 예외를 처리하지 못하면 프로그램은 비정상 종료되고, 처리되지 못한 예외(uncaught exception)는 JVM의 '예외처리기(UncaughtExceptionHandler)'가 예.. 2020. 12. 20.
01. [자바] 프로그램 오류, Exception 클래스의 계층구조 프로그램 오류 프로그램이 어떤 원인으로 인해 오작동,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프로그램 에러 또는 에러라고 한다. 이런 에러를 발생시점에 따라 '컴파일 에러', '런타임 에러', '논리적 에러'로 나눌 수 있다. 컴파일 에러 : 컴파일 시에 발생하는 에러 런타임 에러 : 실행 시에 발생하는 에러 논리적 에러 : 실행은 되지만,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자바에서는 발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오류를 '에러(error)', '예외(Exception)' 두 가지로 구분 했다. 에러는 발생하면 복구할 수 없는 심각한 오류이고, 예외는 발생하더라도 수습이 가능한 덜 심각한 에러이다. 에러(error) :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서 수습될 수 없는 심각한 오류 예외(exception) : 프로그램 코드.. 2020. 12. 20.
13. [자바] 내부 클래스(inner class) 내부 클래스란? 내부 클래스는 클래스 안에 만들어진 클래스이다 이렇게 클래스 안에 클래스를 만드는 이유는 두 클래스가 서로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클래스 안에 클래스를 만들게 되면 멤버들 간에 서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클래스를 감춰서 코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 내부 클래스의 장점 * 내부 클래스에서 외부 클래스의 멤버들을 쉽게 접근할 수 있다. * 코드의 복잡성을 줄일 수 있다(캡슐화) class A { // 외부 클래스 (outer class) ... class B { // 내부 클래스 (inner class) ... } } ⭐내부 클래스는 외부 클래스를 제외하고는 다른 클래스에서 잘 사용되지 않아야 한다.⭐ 내부 클래스의 종류와 특징 내부 클래스의 종류는 변수의 선언위치에 따른.. 2020. 12. 20.
12. [자바] 인터페이스(interface) 인터페이스란? 인터페이스는 일종의 추상클래스이다. 인터페이스는 추상클래스처럼 추상메서드를 갖지만 추상클래스보다 추상화 정도가 높아 몸통을 갖춘 메서드나 멤버변수를 가질 수 없다. 오직 추상메서드와 상수만을 멤버로 가질 수 있다. 추상클래스를 부분적으로 완성된 '미완성 설계도' 라고 한다면 인터페이스는 밑그림만 그려져 있는 '기본 설계도' 이다. 인터페이스의 작성 인터페이스를 작성하는 것은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과 같지만 키워드를 class 대신 interface로 사용한다. 또 interface에도 클래스와 같이 접근제어자로 public 또는 default를 사용할 수 있다. interface 인터페이스이름 { public static final 타입 상수이름 = 값; public abstract 메서드이.. 2020. 12. 15.